전에 작성한 인코딩에 대한 글에 적은 일에 대해 추가적인 용어 설명을 시작한다.
본인이 이해한 마샬링의 '정의'는
데이터의 통신 혹은 관리를 해야 할때, 좀 더 어려운 말로 프로세스나 쓰레드간 데이터 통신으로 패킷을 주고 받을 때, 서로 다른 언어간 자료 형태 ( 주로 C++ 서버와 C# 클라이언트 )의 크기가 문제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같은 크기의 자료형으로 수정, 적용 하는 일련의 작업을 뜻한다.
그러므로 C++의 char의 크기, C#의 string의 크기등을 신경 쓰며, 서로 같은 크기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.
자세한 내용은 여타 백과를 참고하도록 하고 이곳에는 C++/C# 간의 자료형 크기 비교 표를 정리한다.
* 32bit, 64bit에 따라 포인터 변수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.
C++ | C# |
int | int |
float | float |
double | double |
char | string |
WORD | ushort |
DWORD | ulong |
//추가적인 자료, 혹은 정보를 찾을 경우 계속해서 추가 할 예정
베지어 곡선( Bezier Curve ) (1) | 2024.02.29 |
---|---|
문자열 인코딩 ( ASCII, ANSI, UNICODE, UTF8, EUC-K ) (1) | 2019.04.01 |